서광사
차수(叉手)
- 수행 도량에서 합장을 하지 않고서 있거나 걸을 때 취하는 손의 자세이다. (손을 어긋나게 마주잡고 왼쪽 손등 부분을 오른손으로 가볍게 잡는 것을 말한다. 서있을대는 차수한 손을 하단전 부분에 자연스럽게 갖다 대고, 않아 있을 때는 차수한 채로 무릎위에 단정히 올려놓으면 된다. 왼손과 오른손이 바뀌어도 괜찮다.
합장(合掌)
- 불자들이 가장 많이 취하는 자세, 인도 전통 인사법이다. 두 바닥을 마주 대서 합하는 것을 합장이라 한다. 마주 닿은 손바닥 사이에 틈이 있거나 손가락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두 손을 모아 마주 하는것 것은 마음을 모 은다는 뜻이며, 나아가 나와 남이 둘이 아니라 하나의 진리로 합쳐진다는 뜻이다.
장계합장
- 수계식 때에 하는 것으로 무릎을 바닥에 대고 다리를 세운 채 합장을 하는 것이다.
좌선(坐禪) 자세
- 앉아서 참선 할 때의 기본자세이다. 부처님을 비롯하여 역대 위대한 수행자들이 자세로 수행하셨고 오늘날의 수행자들도 이자세로 앉아 용맹정진 한다. 좌선 할때 에는 결가부좌(結跏趺坐)와 반가부좌(半跏趺坐)가 있다. 결가부좌는 오른쪽 다리를 왼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고, 왼쪽다리를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 놓는다. 두 다리를 허벅지 깊 숙이 올려놓아야 자세도 안정되며 오래 유지 할수 있다. 반가부좌는 좌복 위에 앉아 왼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 위에 올려 놓 거나(항마좌) 오른쪽 다리를 왼쪽다리위에 올려놓는다. (길상좌)